2022년 1월 28일

동서의 무꽃 사진을 보고 달려가 담아 보았다.

무는 반찬해 먹고 머리는 물에 담가 놓은 것이 꽃을 피웠다니...ㅎㅎ

 

무꽃(무우 장다리꽃)

 

무꽃(radish)

나복, 蘿蔔, 청근, 菁根


십자화과(Brassicaceae)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에서 채소로 재배한다. 근생엽은 1회 우상복엽이며 털이 있고 최종열편이 가장 크다. 화경은 1m 이상으로도 자라고 4~5월에 총상꽃차례에 연한 자주색 또는 백색의 꽃이 핀다. 각과는 길이 4~6cm 정도로 터지지 않는다. 여러 가지 품종이 있고 뿌리와 잎을 식용한다.

 

특성

쌍자엽식물(dicotyledon), 이판화(polypetalous flower), 2년생초본(biennial herb), 직립형식물(erect type), 재배되는(cultivated), 약용(medicinal), 식용(edible plant)

 

적용증상 및 효능

가스중독, 각기, 간장암, 감기, 개선, 거담, 건위, 견비통, 고혈압, 골다공증, 관격, 관절염, 구내염, 구충, 금창, 기관지염, 담, 마약중독, 소식제장, 소아감적, 소아경풍, 소아구루, 소적채, 소화, 식계란체, 식교맥체, 식균용체, 식두부체, 식병나체, 신장증, 아편중독, 야맹증, 약물중독, 요독증, 월경이상, 위산과다증, 음낭습, 음식체, 인후통증, 자궁내막염, 자궁암, 장위카타르, 저혈압, 전립선비대증, 종독, 주독, 중이염, 지혈, 축농증, 충치, 치통, 치핵, 타박상, 토혈각혈, 편두통, 폐기천식, 폐렴, 하리, 해독, 해소, 해수, 해수담천, 해열, 현훈, 현훈구토, 홍역, 화상, 황달, 흉부냉증, 흉통

<다음 백과에서...>

 

 

 

'꽃과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레놉시스(호접란)  (0) 2022.03.26
길마가지나무  (0) 2022.03.06
12월에 피는 꽃과 식물  (0) 2021.12.10
2월에 피는 꽃과 식물  (0) 2021.12.10
두루미천남성  (0) 2021.11.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