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궁이
궁궁이(芎窮이, 川芎)
궁궁이(polymorphic-angelica)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산형과(Apiaceae)
학명 Angelica polymorpha Maxim.
북한명칭 백봉궁궁이
본초명 궁궁(芎窮, Xiong-Qiong), 당귀(當歸, Dang-Gui), 산궁궁(山芎窮, Shan-Xiong-Qiong), 천궁(川芎, Chuan-Xiong)
별칭 천궁, 토천궁, 심산천궁, 백봉천궁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와 들의 습지에서 자라고 높이 80~160cm 정도로 가지가 갈라진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경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백색이다. 잎몸은 길이 20~30cm 정도의 삼각상 넓은 난형으로 3개씩 3~4회 갈라진다.
소엽은 길이 3~6cm 정도의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하다. 8~9월에 개화하며 큰 복산형꽃차례에 달리는 꽃은 백색이다.
열매는 길이 4~5mm 정도의 편평한 타원형으로 양끝이 오목하고 털이 없다. ‘왜천궁’과 달리 소엽이 넓고 난형이며 겹톱니 같은 결각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씨방에 털이 없으며 합생면에 2개의 유관이 있다.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하며 ‘토천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연한 잎과 줄기를 생으로 먹거나 데쳐 나물로 무쳐 먹는다.
특징 및 사용 방법
궁궁·운초(芸草)·천궁이·토천궁이라고도 한다. 땅 속의 뿌리줄기는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덩어리 모양인데 다소 굵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치며 털이 없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 쓰기도 한다.
특성
쌍자엽식물(dicotyledon), 이판화(polypetalous flower), 다년생초본(perennial herb), 직립형식물(erect type), 습지식물(hygrophyte), 야생(wild),
약용(medicinal), 식용(edible plant)
적용증상 및 효능
간질, 강장, 거풍산한, 경련, 구역질, 난산, 빈혈, 소아간질, 소아감병, 소아경결, 소아청변, 수태, 신열, 월경이상, 이뇨, 익기, 익정, 정혈, 진경, 진정,
진통, 치질, 치통, 탄산토산, 통경, 편두통, 혈전증, 협통, 활혈
蘼蕪(미무, 궁궁이의 싹)
上山采蘼蕪
上山采蘼蕪,下山逢故夫。
長跪問故夫:新人復何如?
新人雖言好,未若故人姝。
顏色類相似,手爪不相如。
新人從門入,故人從閤去。
新人工織縑,故人工織素。
織縑日一匹,織素五丈餘。
將縑來比素,新人不如故。
궁궁이풀 따고 내려오는 길에 옛남편을 만났다
공손히 무릎꿇고 물었다
"새사람은 어떻습니까?"
"새사람도 괜찮지만 당신만 못하오,
얼굴모습은 비슷하나 솜씨가 옛사람만 못하다오.
새사람은 대문으로 들어오고 옛사람은 울면서 옆문으로 나갔지요.
새사람은 값도 안나가는 누런 옷감을 하루에 한필밖에 못짜지만 옜사람은 희고 고운 옷감을 하루에 한필도 넘게 짰었지요. 옷감짜는 것만 봐도 새사람은 옛사람만 못합니다."
시 내용중 왜 헤어졌는지 모르지만 새로 들인 사람이 경제적으로는 별도움이 못되는가봅니다. 해설에는 두사람은 좋은데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쫓아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작자미상이니 알수없지요.
蘼蕪를 찾아보니 궁궁이풀로 나왔어요. 정병권님께서 사진 올려주셔서 확실히 알았습니다.
야생화산책 (http://cafe.daum.net/suyangd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