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죽도(유도화)
오래 전부터 우리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유도화]의 독성에 대하여 알리고 싶은 내용을 오늘에서야 비로소 글을 쓰게 된다.
(사진은 직접 찍은 것임)
유도화라는 꽃나무는 우리 주변에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가로수 등에 많이 심기워져 있고,
특히, 우리나라의 제주도 지방에 많이 자라고 있으며, 부산에서도 낙동강 강변도로변에 많이 심기워져 있는 유두화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유도화(柳桃花)는 복숭아꽃과 유사하다하여, 불려진 이름으로, 버들잎 같은 두텁고 좁은 잎, 대나무를 연상케 하는 가는 줄기, 복숭아 꽃 색깔과 같은
아름다운 꽃으로 상록 관목이다.
그러나 유도화(협죽도)는 꽃, 잎, 줄기 등에 독이 들어 있어 함부로 잎에 대지 않는 것이 좋다.
우리나라에서도 옛날 죄인들에게 내려지는 “사약”이 유두화를 달려서 이용하였다고 하며,
(낙동강 을숙도 하구둑 강변도로변에 활짝핀 유도화)
외국의 문헌에 의하면 버드나무와 비숫한 유도화 줄기를 꼬지로 이용하여 고기에 꽂은 고기(꼬지)를 먹고 사람이 죽었다는 기록도 있다.
그리고, 라면을 먹을때 젓가락이 없어 유두화 줄기를 잘라 젓가락 대용품으로 사용한 사람이 중독되거나 망하였다고 한다.
독성이 매우 강하여, 잎만으로도 중독이 될 수 있으며, 마른 잎도 독성이 남아 있다. 어린이나 애완동물들이 생잎이나 마른 잎을 먹는다거나,
줄기를 씹는다거나 꽃의 꿀을 빨아 먹도록 해서는 안된다.
이와 같은 독성이 많은 유도화가 푸른잎과 아름다운 꽃을 가지고 있다하여 주택지나, 산책로에 심기워져 사람과 접축이 쉽게 접할 수 있음에
우리 모두는 주의하여야 할 것이며, 나아가 행정관청에서는 유도화 나무에 경고, 또는 주의 사항들을 기록하여 함부로 이용할 수 없도록 하는 것도 주민을 위한 한방법이 아닐까 생각한다.
다운 받아 많은 분들에게 알려주세요 <인터넷 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