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봉할아버지에 대한 기록

 

서성(徐:1558-1631)    
조선 중기의 문신. 판중추부사.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현기(玄紀). 호는 약봉(藥峯). 시호는 충숙(忠肅)
서해의 아들이며 이이(李珥), 송익필(宋翼弼)의 문인으로서 1586년(선조19)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여, 1592년 병조좌랑(兵曹佐郞) 에 병과로 급제하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을 호종(扈從)하고, 호소사(號召使) 황정욱(黃廷彧)의 종사관(從事官)으로 함북(咸北)에 이르러 두 왕자와 황정욱 등이 포로가 되자 혼자 탈출했다. 왕명에 따라 행재소(行在所)에 이르러 병조정랑(兵曹正郞), 직강(直講)이 되고 명장(明將) 유정(劉綎)을 접대했다. 그 후 암행어사로서 삼남을 훈찰하고 돌아와 제용감정(濟用監正)에 특진되었으며 이어 경상도, 강원도, 함경도, 평안도, 경기도 5개도의 관찰사를 역임하고, 뒤에 호조, 형조, 공조 3조의 판서와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냈다.
  1613년(광해군 5) 계축옥사(癸丑獄事)에 연루, 11년간 유배되었다가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형조판서에 복직, 이어 병조판서가 되었다. 학문에 능했고, 서화에도 뛰어났다.
  1624년 이괄(李适)의 난과 1627년 정묘호란(丁卯胡亂) 때에는 각각 왕을 호종했다. 이인기(李麟奇) 등과 남지(南池: 耆老會)를 조직, 역학(易學)을 토론했고 서화(書畵)에도 뛰어났다.
  대구의
구암서원(龜巖書院)에 제향,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문집에 《약봉집(藥峯集)》이 있다.

 

. ☆☆☆☆☆

  약주(藥酒) - 술이 다 된 뒤에 술독에 용수를 박아 떠낸 맑은 술.  ********************************** 《고려도경》에 의하면 고려에는 탁주와 청주가 있는데, 청주를 조선시대 중엽에는 약주라 일컬었다고 한다. 현재 주세법상 약주의 정의는 곡류, 기타 전분을 함유하는 물료 또는 고구마 전분당, 누룩과 물을 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술덧을 여과하되 재(滓)를 제거하지 아니하고 혼탁성을 가지도록 제성(製成)한 것으로 되어 있다. 《조선왕조실록》 태종 5년(1405)조에 ‘진약주(進藥酒)’라는 말이 나오고, 태종 7년(1407)조와 세종 15년(1433)조에 의하면 화재 때문에 왕은 약주 이외의 술을 금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약주라는 단어는 나오지만 약주가 무엇으로 어떻게 빚었는지는 알 수 없다. 《임원십육지》에 처음으로 약주는 찹쌀로 빚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 인조 때의 정치가 서성(徐)의 호가 약봉(藥峰)이었는데, 서성이 좋은 청주를 빚었고, 그의 집이 약현(藥峴)에 있었으므로 그 집 술을 약산춘(藥山春)이라고 하였다 한다. 《규합총서》에는 약주제품(藥酒諸品)이라고 하여 여러 술 종류가 기록되었다. 즉, 구기자술, 오가피술, 복사꽃술, 연잎술, 진달래술, 소국주, 과하주, 백화주, 감향주, 송절주, 송순주, 한산주, 삼일주, 일일주, 방문주, 녹파주, 오종주방문, 어나주 등이다. 특히 경주 교동 법주(중요무형문화재 86), 경기 동동주, 한산 소국주, 김천 과하주, 중원 청명주 등은 유명하다. 이 밖에도 방문주, 향온주, 경면녹파주, 석탐주, 동정춘, 호산춘, 삼해주, 백일주 등이 있다.

 

 

<위의 글은 "김승호(kim,sng-ho)"씨의 홈페이지를 인용한 것임>




P 워나님의 파란블로그에서 발행된 글입니다.

'나의 조상 나의 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문의 자랑  (0) 2010.04.04
경기도 포천시의 약봉할아버지 산소 안내  (0) 2010.04.04
약봉 할아버지의 어머니  (0) 2010.04.04
조상님들에 대한 기록  (0) 2010.04.04
대구서씨 족보2  (0) 2010.04.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