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 마드리드(Madrid)

 

마드리드(Madrid)는 스페인의 수도로, 스페인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인구는 2007년 기준 323만 명이었으며 도시 외곽 지역까지 포함한다면 510만 명 내외일 것으로 추정된다. 마드리드를 아우르는 전체 메트로폴리탄 지대의 인구는 584만인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마드리드는 만사나레스(스페인어 : Manzanares)를 끼고 있으며 스페인의 중심에 위치한다. 마드리드가 쏟아내는 경제적 효과로 인해 주변 도시들이 크게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마드리드는 이베리아 반도의 경제 중심으로 여겨진다. 또한 스페인 회사의 절대 다수가 이곳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세계 100대 기업 안에 드는 3개의 기업(Telefonica, Repsol-YPF, Endesa)도 이곳에 본사를 두고 있다. 스페인의 수도로서 정부 청사가 있으며 스페인 왕궁이 위치하고 있을 뿐 아니라 스페인 정계의 중심이기도 하다.

한편 마드리드는 현대적 인프라를 갖춤과 동시에 역사적인 거리와 장소를 간직하고 있다. 마드리드의 거대한 왕궁이 그 중의 하나다. 스페인 국립극장, 세계에서 가장 많은 명작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을 받는 프라도 미술관, 스페인의 왕비인 소피아(Reina Sofia)의 이름을 따서 지은 국립 소피아 왕비 예술센터가 이에 포함된다.

1975년 스페인의 재통합과 민주화가 달성되고 유럽연합에 가입됨에 따라 마드리드는 재정적 역할에 있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인터넷 백과>

 

마드리드의 일출

 

 

 

 

 

프라도 미술관 앞에 있는 고야 동상

 

세계에서 가장 많은 명작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을 받는 프라도 미술관과 입장을 기다리는 관람객

 

세계 최고의 순수 회화 미술관으로 자리잡은 프라도 미술관은 귀족과 수도원의 도움으로 미술사에 빼놓을 수 없는 회화들을 포함해 6,000점 이상의 순수 회화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대다수의 작품은 스페인 작가의 것이지만 역사적으로 스페인과 관계가 깊었던 프랑스, 이태리 작가의 작품도 꽤 많이 소장하고 있어 지금은 규모면에서도 세계 최고의 순수 회화 미술관으로 주목받고 있다.

단일 화가의 작품으로는 고야의 작품이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는데 유화가 114점, 데생은 무려 470점을 소장하고 있다. 고야의 작품 중에서 ‘나체의 마하’, ‘옷입은 마하’, ‘까를로스 4세 가족’, ‘1808년 5월 2일’, ‘5월 3일’은 고야의 작품 중에서도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

고 있으며, 세계 미술사 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마하의 경우, 같은 모델을 같은 포즈로 옷을 입은 모습과 누드를 그린 이유는 무엇일까? 엄격한 금욕주의를 내세우는 카톨릭 국가에서 신이 아닌 실제의 여체를 누드화로 그린 점은 지금까지 미술계의 논란거리로 남아있다. 왕가의 부패를 풍자한 까를로스 4세와 가족들, 저항의 의지를 담은 ‘프리시페 피오의 총살’의 처참한 시체와 민중들의 사실감 있는 모습은 몰락의 길로 치닫던 스페인 역사의 현장을 그의 방식대로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고야의 풍자와 저항의 의지는 마땅히 예술가로서 가져야 될 역사인식에 대한 자세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물론 금세기 최고의 화가로 일컬어지는 피카소에게도 고야의 역사인식에 대한 사상이 심어져 ‘게르니카’라는 대작이 태어났을 것이다. 그 밖에 미술관에 전시된 작품 중에는 보쉬의 ‘실락원’, ‘일곱가지 죄의 테이블’, 부리겔의 ‘죽음의 승리’, 듀러의 ‘아담과 이브’, ‘자화상’, 렘브란트의 ‘자화상’, ‘아르테미스’ 등 종교적인 색체가 강한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인터넷에서>

 

 

 

프라도 미술관에는 아름답고 유명한 많은 작품이 있지만 사진 촬영이 금지 되어 있어 내부를 촬영할 수 없었다. 그래서 후랫쉬를 안터지게 해서 3장의 인증샷을 올려본다. ^^  어디서나 마찬가지지만 특히 미술관 관람은 사전에 인터넷 , 기타 자료를 통해서 미리 공부를 하고 가면 관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짧은 시간에 사전 지식없이 가면 관람할 때나 관람 후 무엇을 보는지, 또 무었을 보았는지 남는게 하나도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성 싶다.     

 

 

 

 

 

 

 

 

마드리드는 400여년간 스페인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 해발 646m에 자리잡고 있는 고원 도시이다.

1561년 펠리페2세가 수도를 톨레도에서 마드리드로 천도한 이래 급속한 발전을 이룩하였으며, 현재까지 남아있는 건축물도 17~18세기에 건축된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특히 18세기 후반 카를로스3세때 많은 건물(프라도박물관등) 을 건설하게 되어 수도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마드리드는 유럽문명과 오리엔트적 요소가 잘 결합되어 있어 그 매력을 더하고 있으며, 고색창연한 건축물과 미술관, 박물관, 유적 등이 많이 남아 있고, 거리에는 옛날 모습이 곳곳에 잘 보존되어 남아 있다. 그러면서도 신시가지에 들어서면 현대적인 빌딩거리가 펼쳐지며 교외에는 공장과 고층 건물들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주변으로 팽창해 나가는 대도시의 활기를 느낄 수 있다고 한다. <인터넷에서>

 

 

 

스페인 광장

 

앞서 세비야의 스페인광장(가이드 왈 일명 김태희 광장)을 소개 했는데, 가이드 말 대로 마드리드에도 보는 바와 같이 스페인광장이 있었다. 그러나 여러 면에서 세비야의 스페인광장 같이 아름답지를 못하다.

 

스페인광장은 1916년 "돈키호테"를 쓴 스페인의 대표적인 작가 세르반테스의 사후 300년을 기념하여 만들어진 세르반테스 기념탑이다.

광장의 중앙에는 말을 타고 있는 돈키호테와 나귀를 타고 있는 산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그리고 자신이 만든 소설의 주인공들을 내려다 보기라도 하는듯 그 뒤 윗 부분에는 세르반테스의 상이 있다.  광장 후면으로 보이는 건축물은 1950년대에 Otamedi형제에 의해 설계된 Edificio Espana와 Torre de  Madrid로 총 27층으로 이루어진 빌딩으로 현재 아파트 및 호텔로 이용되고 있다고 한다.

 

마침 말을 타고 있는 돈키호테와 나귀를 타고 있는 산쵸의 동상을 깨끗이 닦아주고 있었다.

 

 

 

세르반테스 기념탑 뒷모습

 

 

 

 역사적인 거리와 장소를 간직하고 있다는 마드리드의 거대한 왕궁

 

 

스페인의 거리에는 이런 동상이 수도 없이 많이 서 있는데, 말이 다리를 몇개를 들고 있느냐에 따라 말을 타고 있는 주인공의 지위가 다르다고 한다. 그러고 보니 어떤말은 네 발을 모두 땅을 딛고 서 있는가 하면, 여기 있는 말은 두발을 번쩍 들고 있다. 주인공이 대단한 사람인가 보다. ㅎㅎ 이 동상이 까를로스 3세 동상인가 싶다.

 

 

공원 광장 등 시내를 구경하다 잠시 휴식을 취하는 우리 일행들...

 

 

 

마요르 광장에 프레스코 벽화가 그려져있는 건물 (카사 데 라 파나데리아 Casa de la Panaderia)

마요르 광장의 사면을 에워싸고 있는 고풍스러운 건축물과 아름다운 프레스코 벽화, 시민 생활의 무대가 된 이 광장에 1619년에 5층짜리 집합주택으로 둘러싼 광장이 건설됐다고 한다. 광장에서는 왕궁 의식이나 축제, 투우 같은 행사뿐만 아니라 이단아를 화형하기도 했단다. 18세기 말 세 번의 화재로 소실 되었던 것을 1853년에 지금의 4층짜리 건물로 재건축 하였다고 한다. 주변으로는 오픈카페가 1년내내 영업을 하고 있는데, 카사 데 라 파나델리아는 옛날에 빵을 굽던 곳으로, 왕가의 관람석으로 사용되기도 했었다고 한다.

 

 

마요르 광장의 펠리페 3세 기마상과 뽀족탑, 그리고 아름다운 프레스코벽화

 

1619년에 펠리페 3세가 완성한 합스부르그 왕가의 대표적인 건축물로 길이 94미터, 폭 128미터의 4층 건물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광장을 둘러싸고 있고, 중앙에는 펠리페 3세의 기마상이 놓여 있다. 스페인의 대부분의 도시 중심부에 ‘마요르 광장’이 있을 정도로 마요르 광장은 스페인의 전형적인 광장의 명칭으로 지역별로 건축양식에선 차이가 나지만 형태는 같다. 예전에는 왕실의 공식행사, 투우 경기, 서민들의 시장, 종교재판 등 도시에서 열리는 모든 회합의 장소로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관광객들과 연인들이 즐겨 찾는 곳으로 주말에는 젊은이들이 그룹 지어 모여든다. 해질 무렵이면 광장 주변의 스페인 전통 술집 메손으로 자리를 옮겨보자. 젊은이들이 모여 술을 마시며 노래를 부르다 흥에 겨우면 즉석에서 플라멩고를 추어댄다. 그들과 어울리고 싶으면 춤을 추는 젊은이들에게 관심을 보이며 박수를 크게 치면 된다. 스페인 사람들은 활달하고 사교적이어서 그들에게 조그만 관심을 보여도 즉석에서 초대되어 같이 어울릴 수 있다. 광장에서 왕궁으로 향하는 길은 광장 남쪽 모퉁이의 계단으로 내려가 산 미구엘 거리 북쪽으로 향하면 된다. 여기서 계속 북쪽으로 방향을 잡고, 왕립극장으로 나아가면 오리엔테 광장과 왕궁의 모습이 보인다.<인터넷에서>

 

 

 

궁전앞으로 가고 있는데 마드리드 현지 가이드의 쓰리꾼이 접근하고 있으니 소지품을 조심하란다...아무리 둘러 봐도 수상쩍은 사람은 없고...

 

거리를 순회하며 치안과 질서를 담당하는 경찰인듯...

 

 

일명 동쪽궁전(Palacio de Oriente)이라고도 하며 유럽의 가장 아름다운 바로크식 왕궁 중의 하나이다. 한면의 길이가 140m에 이르는 장방형의 건축물로서 왕궁안의 방은 크고 작은 것을 합하여 2,800여개에 달하며, 19세기식 내부장식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1931년까지 국왕의 거처였으며, 현재는 박물관, 영빈관으로 사용되며 국빈 리셉션등 국왕공식행사를 왕궁에서 거행하고 있다.

내부는 사진촬영을 금하고 잇다고 하며, 우리는 왕궁 앞에서만 구경을 하였는데, 직접 들어가 보면 왕궁 내부의 모습은 정말 화려하기가 유럽의 베르사이유궁전 못지 않다고 소개한다. 들어가 보질 못해서 못내 아쉽다. ㅋ~

 

마드리드, 푸에르타 델 솔 Puerta del Sol (태양의 문 광장), 16세기까지 태양의 모습이 새겨진 성문이 있었고, 이 성문이 없어진 뒤에도 지명만은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스페인의 중심지(위치상의)인 푸에르타 델 솔은 성문 대신에 시계탑이 있는 경찰서가 있고, 경찰서 앞의 보도에 스페인 전국 도로의 기점을 표시하는 이정표가 서 있는데 바로 아래 사진이다. 

 

솔광장_스페인 교통의 기점

 

푸에르타 델 솔 광장은 스페인 각 방면으로 향하는 10개의 방사형 도로의 중심이 되는 ‘0’ 포인트 지점으로 스페인의 중심이라 할 수 있다. 스페인 여행의 시작을 푸에르타 델 솔 광장의 ‘0’ 포인트를 밟고, 스페인의 중심부터 시작해 보면 더욱 의미가 있을 것 같다.

 

 

 

 

 

 

이곳에서 점심을 먹고 이제 바르셀로나로 가는데, 도중에 사라고사를 관광할 예정이다.

 

사라고사로 가는 도중 휴게소 근처와 도로 주변 풍경, 태양과 정열에 땅이라서 인가 이렇게 메마르고 척박한 곳도 많다.

 

 

 

 

 

 

 

 

지휘 : Herbert von Karajan

Berliner Philharmoniker

Cello 연주 : Yo Yo Ma

                                                                     

출처:http://blog.daum.net/scam416/12405152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모스를 다녀와서_26  (0) 2011.10.20
포모스를 다녀와서_25  (0) 2011.09.25
포모스를 다녀와서_23  (0) 2011.08.17
포모스를 다녀와서_22  (0) 2011.08.13
포모스를 다녀와서_21  (0) 2011.08.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