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과 식물
과꽃
가는잎왕고들빼기
가는잎왕고들빼기
학명
Lactuca indica L. var. laciniata (Houtt.) H.Hara f. indivisa (Maxim.) H.Hara
과명
앵글러 - 국화과 (Asteraceae)
APG Ⅳ- 국화과 (Asteraceae)
영문명
Slender-leaf Indian lettuce
여름꽃
상사화와 꽃무릇
상사화 (Magic Lily, 相思花 )
동의어 : Resurrection Lily, 개가재무릇, 개난초
상사화는 봄철에 비늘줄기 끝에서 잎이 모여나는데 길이 20~30cm, 나비 16~25mm의 선 모양을 하고 있다. 꽃줄기가 올라오기 전인 6~7월이면 잎이 말라 죽으므로 꽃이 필 무렵이면 살아있는 잎을 볼 수 없다.
개가재무릇이라고도 한다. 잎이 있을 때는 꽃이 없고 꽃이 필 때는 잎이 없으므로 잎은 꽃을 생각하고 꽃은 잎을 생각한다 하여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다. 꽃무릇(석산)도 꽃이 필 때는 잎이 없고, 잎이 날 때는 꽃이지고 없어 잎은 꽃을 생각하고 꽃은 잎을 생각한다는 점은 비슷하나 상사화는 잎이지고 꽃이피는 것이 다르고 꽃도 분홍과 노란색이 있다.
석산(石蒜, 학명:Lycoris radiata)
석산은 수선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알뿌리식물이다. 꽃무릇이라고도 부른다. 산기슭이나 습한 땅에서 무리지어 자라며, 절 근처에서 흔히 심는다.
꽃줄기의 높이는 약 30~50cm이다. 잎은 길이 30~40cm, 너비 1.5cm 정도로 길쭉하며 10월에 돋았다가 한 다발씩 뭉쳐져 겨울을 지내고, 다음해 5월이 되면 차차 시들어 사라진다. 8월 초에 잎이 완전히 자취를 감춘 후 희읍스름한 꽃대가 쑥 솟아나서 길이 1m가량 자란다. 9월에 꽃대머리에 산형꽃차례로 4~5개의 붉은 꽃이 커다랗게 핀다. 여섯 개의 화피는 거꾸로 된 얇은 바소꼴이고 뒤로 말린다. 길이 7~8 센티미터의 수술이 여섯이고 암술이 하나인데 길게 꽃밖으로 나오며, 꽃과 같은 색으로 또한 아름답다. 원산지인 중국의 장강 유역에서 자라는 것은 이배체로 결실이 잘 되나, 대한민국이나 일본의 것은 삼배체로 열매를 맺지 못한다.[1] 꽃이 쓰러진 뒤에 잎이 나온다. 비늘줄기(인경)로 번식한다.<위키백과>
솔채
섬백리향
개곽향
떡윤노리나무
떡윤노리나무
Brown oriental photinia
분류 장미목 > 장미과 > 윤노리나무속
꽃색 백색
학명 Pourthiaea villosa var. brunnea (H.Lev.) Nakai
개화기 5월
분포지역
중부 이남의 표고 50-1,200m에 자생하며 제주도(한라산의 수림 중간층)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크기
수고 5-10m, 직경은 10-20cm 정도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거꿀달걀모양으로 두껍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8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거의 없어진다. 가장자리에 잘고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짧다.
꽃
양성꽃으로 5월경에 피고 편평꽃차례는 지름 3-5cm로 백색꽃이 달리며 백색털이 밀생한다. 꽃은 지름 7-10㎜이고, 꽃잎은 도란상 원형이며 수술이 20개이고 암술대는 2-4개로서 밑부분이 합쳐진다.
열매
열매는 거꿀달걀모양으로 지름 12㎜이며 9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열매가 커짐에 따라 갈색 껍질눈이 열매자루와 소과경에 생긴다.
줄기
밑에서 옆으로 자라며 몇 개의 수간이 올라온다. 일년생가지에는 백색털과 타원형의 껍질눈이 있다.
유사종
• 털윤노리 : 전라남북, 경상남북, 강원지역에서 자라며, 화경과 일년생가지에 털이 많고 잎 뒷면에 백색털이 밀생한다.
• 꼭지윤노리 : 엽병과 꽃자루의 길이가 각각 1cm이상이다.
• 좀윤노리 : 잎이 얇고 화경과 가지가 가늘다.
• 민윤노리 : 잎과 꽃차례의 털이 곧 없어진다.
<다음 백과>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