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엽나무
Japanese Honey Locust , 皁莢 , サイカチ皁莢

 

동구릉에서...^^

 

식물분류학이란 학문의 체계가 잡혀 있는 지금도 같은 나무를 두고 여러 이름으로 부르거나 다른 나무를 같은 이름으로 부르고 있는 경우가 많아 혼란스럽다. 주엽나무와 조각자나무의 관계가 그렇다. 주엽나무는 전국에서 자라는 토종나무이고, 조각자나무는 중국에서 약재로 쓸 목적으로 수입하여 일부 지방에서 심고 있는 나무다. 하지만 외모는 주엽나무와 구분이 안 될 만큼 줄기와 잎 모양이 거의 같다. 다만 주엽나무의 열매는 꼬투리가 비꼬여 있고, 가시의 횡단면이 약간 납작한데 반해 조각자나무는 열매 꼬투리가 곧바르며 가시의 횡단면이 둥글다.

이렇게 두 나무는 모양도 비슷하고 옛 문헌 기록에서도 구분하지 않고 한꺼번에 취급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주엽나무 열매를 조협(皁莢)이라 하는데, 조협나무가 변하여 주엽나무가 되었다. 《동의보감》에 보면 “조협은 장조협(長皂莢), 저아조협(猪牙皂莢) 등 두 가지가 있다. 지금 의사들은 풍기를 없애는 알약이나 가루약에는 장조협을 쓰고, 이빨의 병과 적(積)을 낫게 하는 약에는 저아조협을 많이 쓴다. 성질과 맛은 대체로 비슷하다”라고 했다. 《산림경제》에도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장조협은 조각자나무로 생각되고, 저아란 활처럼 휜 멧돼지 이빨을 말하니 열매 모양으로 보면 주엽나무에 해당한다. 이렇게 둘을 구분한 경우는 드물고 옛사람들은 같은 나무로 취급했다. <다음백과> <우리 나무의 세계 1 | 박상진 | 김영사>

 

주엽나무는 키 15미터 정도, 줄기둘레가 두세 아름에 이르는 큰 나무다. 굵은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며, 작은 가지는 녹색이다. 나무껍질은 짙은 회색으로 나이를 먹어도 갈라지지 않는다. 줄기와 가지에는 직각으로 솟아오른 험상궂은 가시가 있는 것이 주엽나무 종류의 특징이다. 잔가지가 변형된 가시이므로 껍질이 변형된 장미나 음나무 가시와 달리 튼튼하게 뿌리를 박고 있다. 가시는 매년 생장을 하여 몇 번씩 가지를 쳐 길이가 한 뼘에 이르기도 한다.

이상하게 생긴 가시는 조각자(皁角刺)라고 하여 귀중한 약재로 쓴다. 《본초강목》에는 “대나무 속껍질을 나무에 둘러놓으면 하룻밤 사이에 가시가 저절로 떨어진다”라는 희한한 처방도 있다. 가시 떼기가 만만치 않았던 탓이다. 《동의보감》에 보면 조각자는 “터지지 않은 옹종을 터지게 한다. 이미 터진 때에는 약 기운을 끌고 가므로 모든 악창과 문둥병에 좋은 약이 된다”라고 했다. 《산림경제》에는 “갑작스런 뇌졸중 등 여러 가지 위급상황이 닥치면 조각자 가루를 먹인다”라고 하였으며, 책에 좀이 스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도 썼다. 그 외에 조각자를 땅속에 묻어두면 대나무가 뿌리를 뻗지 못하며, 조각자나 조협을 삶은 물로 빨래를 하면 때가 잘 빠진다고 한다. 나무껍질은 흑갈색 또는 암회색으로 매끈하다. 《천공개물》에 보면 “소금을 만들 때 물이 잘 엉기지 않으면 주엽나무 껍질을 찧어서 조와 벼의 겨를 섞어 끓을 때 넣고 저으면 소금이 곧 엉기게 된다”라고 했다. 잎은 달걀모양의 작은 잎이 5~8쌍씩 모여 짝수 깃꼴겹잎을 이룬다.

주엽나무는 이처럼 여러 가지 재료로 쓰인 나무이지만 남아 있는 고목은 드물다. 전북 고창군 대산면 중산리에 있는 나이 200년, 키 8미터, 줄기둘레가 두 아름이 조금 넘는 보호수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다. 조각자나무는 경북 안강 독락당의 천연기념물 115호로 지정된 키 15미터, 뿌리목 둘레가 세 아름이 넘는, 이언적 선생이 심었다는 5백 년 된 고목이 유일하게 남아 있다.

 

 

주엽나무는 쥐엽, 주염, 쥐엄나무 등 여러 가지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성서의 〈누가복음〉 15장에는 “그는 돼지가 먹는 쥐엄나무 열매로 배를 채워보려고 했지만 아무도 그에게 주지 않았습니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이때의 쥐엄나무(학명 Ceratonia siliqua)는 늘푸른나무로 주엽나무나 조각자나무와는 속(屬)이 다른 별개의 나무다.1) 기독교가 중국에 전파될 때 처음 번역한 사람들이 콩꼬투리의 생김새가 주엽나무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 우리나라는 주엽나무의 경기도 방언인 쥐엄나무로 번역했다.

우리 나무의 세계 1 | 박상진 | 김영사 <다음백과에서>

 

'꽃과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곽향  (0) 2024.07.17
떡윤노리나무  (2) 2024.07.04
개오동나무  (0) 2024.06.27
예봉산 야생화  (0) 2024.06.10
분홍찔레꽃  (0) 2024.05.26

개오동나무

catalpa , 檟 , キササゲ木大角豆
재백피(梓白皮), 가목(榎木), 향오동, 목각두(木角豆), 노나무, 재(梓), 가오동(假梧桐), 목왕(木王), 뇌신목(雷神木), 뇌전동(雷電桐), 자실(梓實), 자백피(梓白皮), 재수(梓樹), 추수(揪樹), 의수(椅樹), 의재(椅梓)

 

 

개오동나무는 오동나무보다 격이 좀 떨어지는 나무란 뜻이다. 줄기가 곧으며 빨리 자라고, 커다란 잎사귀도 얼핏 봐서는 영락없는 오동나무다. 그러나 개오동나무는 능소화과이고, 오동나무는 현삼과다.

이렇게 과(科)가 다르다는 것은 두 식물이 모양만 닮았을 뿐 서로 거리가 먼 전혀 별개의 나무임을 말한다. 그러나 나무의 성질에서는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개오동나무는 오동나무보다 조금 단단하며 판자로 켜면 아름다운 무늬가 있다. 또한 습기에 견디는 성질이 강하여 가구나 악기를 만드는 데 쓰인다.

개오동나무는 중국 중남부가 고향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의 인가 근처에서 심고 있다. 한 아름이 훨씬 넘게 자랄 수 있는 큰 나무이며, 넓은 잎은 여름날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주어 정원수로 사랑을 받는다. 경북 청송 홍원리에 있는 천연기념물 401호로 지정된 개오동나무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나무다. 나이 400년 정도이고 두 아름이나 되는 개오동나무 세 그루가 마을 앞에 나란히 자란다.

《조선왕조실록》에 보면 숙종 43년(1717)에 군사들이 땔나무를 조달하려고 “무덤가에 심은 소나무이든 개오동나무이든 마을에 심은 뽕나무이든 밤나무이든 간에 묻지 않고 모두 다 베어서 거의 남아 있는 것이 없다”라고 했다. 또 영조 10년(1734)에 죄인을 다루는 내용 중에 “개오동나무 잎에 글을 썼다”라는 내용이 나온다. 이런 내용으로 보아 대체로 조선 초·중기에 들어온 것으로 짐작된다.

개오동나무 잎은 손바닥을 완전히 폈을 때의 크기 정도로 넓고, 대개 3~5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꽃은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고, 초여름에 넓은 깔때기모양의 꽃이 여러 개 달린다. 연노랑 꽃의 안쪽에 짙은 보라색 반점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으로 주름이 잡힌다. <다음 백과>

 

 

 


개오동나무는 다소 엉뚱하게 벼락을 피할 수 있는 나무라고 알려져 있다.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뇌신목(雷神木), 뇌전동(雷電桐)이라 하여 목왕(木王)이라 부르고 큰 건물 옆에 심었다고 한다. 자라는 곳은 주로 수분이 많은 곳이며, 나무의 함수율도 높다. 대체로 개오동나무는 키가 크므로 피뢰침의 기능을 할 것이라고 믿는 것 같다.

개오동나무의 한자 표기는 ‘재(梓)’다. 중국 이름은 아예 ‘재수(梓樹)’다. 《성호사설》 〈만물문〉에 보면 “재동(梓桐)이란 것이 있는데, 그 열매가 팥과 같다. 나무의 성질이 썩지 않아서 관(棺)을 만들기에 알맞고 심은 지 40~50년이면 재목이 된다”라고 했다. 이는 분명히 개오동나무를 말하고 있다. 우리는 재(梓)를 가래나무로 알고 있지만, 실제로 개오동나무 이외에도 예덕나무, 물푸레나무, 자작나무 종류를 나타내는 글자이기도 하므로 앞뒤 관계로 주의 깊게 파악해야 한다.

개오동나무는 여러 특징 중에 열매가 가장 눈에 띈다. 꼬투리는 연필 굵기에 길이가 한 뼘에서 길 때는 두 뼘이 넘으니, 이보다 더 말라깽이는 만나기 어렵다. 열매는 해를 넘겨 다시 꽃이 필 때까지 달려 있다. 그래서 가늘고 긴 실을 뜻하는 ‘노’가 달리는 나무라 하여 다른 이름은 노나무다. 특별한 모양을 가진 열매는 대부분 옛사람들이 약재로 이용했다. 개오동 열매는 이뇨제로 한방에서 널리 쓰인다.

중국에서 들여온 개오동나무 외에 1905년 평북 선천에 있던 선교사가 미국에서 들여온 미국 개오동나무가 있는데, 우리는 ‘꽃개오동나무’라고 한다. 두 수종 모두 모양이 매우 비슷하나 꽃개오동나무는 잎이 대체로 갈라지지 않고 꽃이 흰색이며, 종모양의 꽃 안쪽에 두 개의 황색 선과 자갈색 반점이 있다.


우리 나무의 세계 1 | 박상진 | 김영사

 

 

동구릉 숲길에서...^^

 

'꽃과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떡윤노리나무  (2) 2024.07.04
주엽나무  (0) 2024.06.27
예봉산 야생화  (0) 2024.06.10
분홍찔레꽃  (0) 2024.05.26
작약(함박꽃)  (0) 2024.05.15

2024년 6월 9일

예봉산 야생화를 담다. ^^

선괭이밥 ^^
좁쌀풀 ^^

 

까치수염 ^^
싱아 ^^

 

개망초와 밤꽃 ^^
거북꼬리 ^^
개다래 ^^
큰조아재비 ^^
서어나무 ^^

 

딱총나무 ^^
양덕사초 ^^
사위질빵 충영 ^^


'꽃과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엽나무  (0) 2024.06.27
개오동나무  (0) 2024.06.27
분홍찔레꽃  (0) 2024.05.26
작약(함박꽃)  (0) 2024.05.15
자란  (0) 2024.05.03

국경찔레(분홍찔레, 압록장미)

 

 

 

'꽃과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오동나무  (0) 2024.06.27
예봉산 야생화  (0) 2024.06.10
작약(함박꽃)  (0) 2024.05.15
자란  (0) 2024.05.03
매발톱꽃  (0) 2024.04.29

2024년 5월 4일

 

 

 

 

 

'꽃과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봉산 야생화  (0) 2024.06.10
분홍찔레꽃  (0) 2024.05.26
자란  (0) 2024.05.03
매발톱꽃  (0) 2024.04.29
새샘공원 야생화  (0) 2024.04.29

자란 (紫蘭)

 

학명 : Bletilla striata (Thunb.) Rchb.f.

분포지역 : 전남 해남, 진도 및 목포의 일부 지역

종류 : 색을 나타내는 난류

개화기 : 5~6월

 

 

 

'꽃과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홍찔레꽃  (0) 2024.05.26
작약(함박꽃)  (0) 2024.05.15
매발톱꽃  (0) 2024.04.29
새샘공원 야생화  (0) 2024.04.29
가침박달  (0) 2024.04.24

매발톱꽃-賣春花

 

 

 

'꽃과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약(함박꽃)  (0) 2024.05.15
자란  (0) 2024.05.03
새샘공원 야생화  (0) 2024.04.29
가침박달  (0) 2024.04.24
모란-목단  (0) 2024.04.22

꽃창포 ^^
물싸리 ^^
자란 ^^
참빗살나무 ^^
태백기린초 ^^

 

'꽃과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란  (0) 2024.05.03
매발톱꽃  (0) 2024.04.29
가침박달  (0) 2024.04.24
모란-목단  (0) 2024.04.22
만병초  (0) 2024.04.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