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과 나무의 이름을 보면 재미 있는 이름들이 참 많다.
그 연유를 다 알기는 어렵지만
인터넷을 통하여
몇몇 재미있는 것들을 함께 싣는다.
20140704 금병산 _ 망초(亡草, 잔꽃풀, Erigeron canadensis L.)
망초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구한말 개항(1876)이후 유입되어 경술국치(1910)를 전후하여 전에 볼 수 없었던 이상한 풀이 전국에 퍼지자,
'나라가 망할 때 돋아난 풀'이라 하여 '망국초', 또는 '망초'라 부르게 되었다.
특히 개망초는 망초보다 꽃이 크고 분홍색이 돌며 예쁘지만
'개'자를 붙여 망국의 분노를 표출하였다고 한다. ^^
20140711 춘천 봉화산 문배마을 _ 개망초
20140704 김유정역 _ 메밀
20140704 김유정역 _ 미국가막사리
20140704 김유정역 _ 삼잎국화_golden glow(Rudbeckia laciniata var_hortensis)
우리나라 어디를 가나 화단이나 뒤안, 또는 마당 한쪽에서 볼 수 있어
늘 나는 이 꽃을 보면 향수를 느낀다. ^^
20140704 춘천 금병산 _ 석잠풀(Stachys riederi var. japonica)
20140704 춘천 금병산 _ 솔나물(Galium verum var. asiaticum)
20140704 춘천 금병산 저수지 뚝 _ 비수리(야관문)
비수리 [夜關門 Lespedeza cuneata] 콩과(―科 Fab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키는 1m 정도이고 반관목처럼 보인다. 잎은 3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어긋난다.
잎보다 작은 연한 노란색 꽃이 늦여름부터 이른 가을에 걸쳐 잎겨드랑이에 2~4송이씩 무리지어 피며
때때로 꽃이 벌어지지 않는 폐쇄화가 달리기도 한다.
줄기는 엮어 광주리를 만드는 데 썼고,
중국에서는 식물 전체를 야관문(夜關門)이라고 하여
한방에서 거담·기관지염을 치료하거나 강장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브리태니커 백과>
시골에서는 광주리나 다래키, 또는 종두래키를 만드는 거라고 알고 있었는데
이거야 원~
“야관문(夜關門)은 밤의 은밀한 문을 여는 꽃이라네요. ^^
언젠가 오뚜기님의
야관문주를 맛보고나서
비수리에 관심이 가고......
ㅎㅎㅎ
20140704 춘천 금병산 _ 은대난초銀-蘭草(Cephalanthera longibracteata)
20140704 춘천 금병산 _ 이스라지(Japanese Bush Cherry), 산앵두
집안에서는 흔히 보던 앵두를 산에서도 보다니......
그런데 집에서 보던 앵두와는 좀 다르다.
20140704 춘천 금병산 _ 으아리(Clematis mandshurica )
'마음이 아름답다.'라는 뜻을 가진 꽃이라는데
미나리아재비과(―科 Ranunculaceae)에 속하는 꽃이라고......
사위질빵과 헷갈리는 꽃이다.
20140704 춘천 금병산_ 짚신나물(Hairyvein Agrimonia)
산짚신나물(Agrimonia coreana Nakai)도 있는데 구분하기 어렵다네요. 뜻은 감사
이 꽃은 왜 하필 짚신나물이라 했을까? 이 풀로 짚신을 만드는 것도 아닌데......
인터넷을 찾아보니 이런 설명도 있네요.
"짚신나물은 꽃이 질 무렵 그 옆을 지나칠 때 스치게 되면
갈고리털 덕택에 바지나 신발끈에 이 녀석의 열매가 다닥 다닥 붙게 되는데,
옛날에 사람들이 신고 다녔던 짚신에는 훨씬 더 잘 붙었을 것이라고......
그래서 그렇게 이름지었을 거라고...... 믿거나 말거나......ㅎㅎ
20140704 춘천 금병산 _ 층층이꽃
20140704 춘천 금병산 _ 칡[kudzu vine]꽃(葛花)
칡은 섬유를 얻기 위해 오랫동안 재배했다고 한다.
칡뿌리를 말린 것을 갈근(葛根)이라고 한다.
20140704 춘천 금병산 _ 파리풀(Phryma leptostachya)
이 것은 뿌리의 즙을 내서 밥과 비벼 놓으면 파리가 빨아먹고는 죽게 되는데
이 뿌리에서 나오는 즙을 승독초(蠅毒草)라고 한단다.
어려서 시골에서는 파리풀 뿌리 즙으로 파리를 많이 잡아서
학교에 갔다 내기도 했으니......
20140704 춘천 금병산 _ 풍접초(족두리풀)
하늘말나리( Tsingtao Lily )
학명: Lilium tsingtauense Gilg
이명: 우산말나리
까마중 (black nightshade, 개까마종이 또는 깜뚜라지라고도 함.) 뜻: 동심, 단 하나의 진실
남천 (南天, Nandina domestica, 뜻: 전화위복)
화살나무 (Wind Spindle Tree, 뜻: 위험한 장난)와 능소화
능소화(凌霄花, Chinese trumpet vine)
대추나무꽃 [Ziziphus jujuba var. inermis]
도라지 (balloonflower, 뜻: 기품, 따뜻한 애정)
며느리배꼽 (식물) [Persicaria perfoliata]
배롱나무 (crape myrtle, 뜻: 수다스러움, 웅변, 꿈, 행복)
삼잎국화(Rudbeckia laciniata) 꽃말 : 밝다, 고상하다.
Golden glow라고 부르며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다.
잎이 삼(麻)을 닮아 삼잎국화 란다.
어린 순을 나물로 무쳐먹거나 삼겹살을 싸 먹는 등으로 이용한다.
삼잎국화를 닮았고, 꽃이 겹으로 핀다고 겹삼잎국화다.
노란 꽃이 피고 키가 커서 키다리노랑꽃이라는 별명도 있다.
쇠별꽃(Stellaria aquatica) 이명: 콩버무리, 꽃말 : 밀회, 추억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석죽목 석죽과 별꽃속
학명 : Stellaria aquatica (L.) Scop.
분포아프리카서식습한 밭이나 들, 크기약 20cm~50cm
주름조개풀
학명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P.Beauv. var. undulatifolius
벼목 벼과 여러해살이풀ㅣ원산 : 한국 꽃은 8~10월에 피고 꽃차례에 짧은 털이 있다.
소엽(蘇葉, 차즈기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꿀풀과, 한해살이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소엽이라 했음
키는 30㎝ 정도이고 자줏빛의 네모난 줄기는 향기가 난다.
자줏빛이 도는 잎은 마주나는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으며 긴 잎자루가 있다.
꽃은 8~9월경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총상(總狀)꽃차례를 이루며 연한 자주색으로 핀다.
통꽃으로 피는 꽃은 꽃부리[花冠]가 크게 2갈래로 갈라지는데, 아래쪽이 위쪽보다 길다.
꽃받침은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2개는 짧다.
잎은 들깻잎처럼 날것으로 먹거나 된장이나 간장에 절여 반찬으로 먹으며, 생선회에 양념으로 쓰기도 한다.
잎 말린 것을 소엽이라 하여 씨와 함께 진통제·발한제·이뇨제·진해제·진정제로 쓴다.
씨에서 얻는 기름은 강한 방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한국에는 고려시대의 〈향약구급방 鄕藥救急方〉에 기록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고려시대 이전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 백과사전>
참나리(Tiger lily) 꽃말 : 순결, 깨끗한 마음
속씨식물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백합과 나리속
학명 :Lilium lancifolium Thunb.
분포 : 아시아 서식 : 산, 들 크기약 1.0m~2.0m
회화나무(Japanese pagoda tree) 꽃말 : 망향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콩목 콩과
학명 : Sophora japonica L.
분포 : 아시아 서식 : 각지, 마을 근처 크기 : 약 25.0m
개모시풀 학명 : Boehmeria platanifolia Franch. & Sav.
○ 분류 : 쐐기풀과(Urticaceae) 모시풀속(Boehmeria)
털긴모시풀 / 섬모시풀 / 모시풀 / 왕모시풀 / 개모시풀 / 제주모시풀 / 긴잎모시풀 /
좀깨잎나무 / 섬거북꼬리 / 거북꼬리 / 풀거북꼬리 / 제주긴잎모시풀 / 왜모시풀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중부 이남의 숲 언저리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가 1m에 달하고 둔한 능선이 있으며 짧은 털이 밀생한다.
잎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길이 10cm, 나비 12-18cm로서 가장자리의 톱니는 결각상이고 줄기 위로 갈수록 결각은 커져서 끝부분이 주맥의 끝부분과 더불어 크게 3개로 갈라진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짧으며 난상 타원형으로서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고 톱니가 그리 크지 않다. 양면에 짧고 거친 털이 퍼져 나 있으며, 막질이다.
꽃 암수한그루로서 이삭화서로 달리고 7-8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다. 수상화서는 엽액에서 나오며 밑부분에 웅화서, 윗부분에 자화서가 달린다. 또한 수상화서는 여러 가지로 갈라져 있다. 수꽃은 여러 개가 모여 달리고 4개씩의 화피열편과 수술이 있으며 암꽃은 화피통으로 싸여 있고 전체에 털이 있으나 윗부분의 것이 가장 길며 여러 개가 모여서 밤송이같이 화서에 달린다.
열매 수과로 도란형이고,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으며, 전체에 털이 있다.
○ 동정 포인트
1. 왜모시풀에 비해 엽질이 얇고 대부분 잎끝이 셋으로 뾰족하게 갈라진다.
1. 왜모시풀은 수상화서에 가지가 없으나 개모시풀을 가지를 친다.
http://blog.daum.net/bae5411/15802746, 내가찍은 사진 에서
거북꼬리(Boehmeria tricuspis (Hance) Makino) _ 거북꼬리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
○ 분류
쐐기풀과(Urticaceae) 모시풀속(Boehmeria)
털긴모시풀 / 섬모시풀 / 모시풀 / 왕모시풀 / 개모시풀 / 제주모시풀 / 긴잎모시풀 / 좀깨잎나무 / 섬거북꼬리 / 거북꼬리 / 풀거북꼬리 / 제주긴잎모시풀 / 왜모시풀
○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일본, 한국 | 중부 이남 산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게 서며 높이 50-100cm로서 거의 털이 없고 가지가 적으며 잎자루와 함께 붉은색이 돈다.
잎 마주나고 난형이며 끝이 3개로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길이 2-5cm의 거북꼬리처럼 되며 3출맥이 뚜렷하다. 잎 밑부분은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가 8-20cm, 나비 5-15cm로서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뒷면 맥 위와 표면에 잔털이 있다. 엽병은 붉은빛이 돈다.
꽃 암수한그루로 7-8월에 피며 엽액의 수상화서에 달리고 녹색이며 꽃자루는 없다. 수꽃차례는 줄기 밑부분에, 암꽃차례는 줄기 윗부분에 달린다. 수꽃은 4-5개로 갈라진 꽃받침과 4-5개의 수술이 있다. 암꽃은 여러 송이가 모여 달리고 통형의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 수과로 도란형이지만 여러 개가 모여 둥글게 보이며, 겉에 잔털이 있고, 연녹색이다.
○ 동정 포인트
1. 좀깨잎나무에 비해 초본이고 줄기는 많은 것이 갈라지지 않으며 잎은 약간 대형이고 끝이 3갈래로 갈라진다.
2. 풀거북꼬리는 잎끝이 3갈래로 갈라지지 않고 꼬리처럼 뾰족하며 줄기 속이 비어 있어 구분된다.
○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이상
이호균의 불꽃 나무광(http://blog.daum.net/ihogyun/2763986)에서
방동사니대가리 이명 : [돌방동사니] [방동산이대가리]
학명 : Cyperus sanguinolentus Vahl
• 과 명: 사초과 Cyperaceae
• 목 명: 식물관
• 분 포: 전국 각처
저지대의 습지에 흔히 나는 1년초.
【형태】
높이: 10~40cm.
잎특성: 잎은 밑부분에 달리며 폭 2-3mm로서 화경보다 짧으며 엽초는 녹색이 돌지만 밑부분의 것은 갈색이다.
꽃특성: 개화기 7-10월, 화서는 두상이며 작은이삭은 3-10개이고 긴 타원형 혹은 피침형이며 길이 0.5-1cm, 연한 녹색이다. 끝이 뾰족하며, 포는 3-4개, 잎모양을 하고 있다. 화서보다 길고 옆으로 퍼진다. 비늘조각은 타원형,길이2mm,폭1mm이다. 암술머리는 2갈래로 갈라져 있다.
줄기특성: 줄기는 밀생, 비스듬히 선다.
열매특성: 열매는 수과, 길이1mm로서 편평하고 확대경으로 볼 수 있는 잔점이 있으며 짙은 갈색이다.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에서...>
André Rieu - Nightingale Serenade (Toselli Seren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