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12일

충남 서산 간월도에서......

 

간월도(看月島)의 간월암

 

전언에 의하면 무학대사가 이곳에서 달을 보고 홀연히 깨쳤다고 하여 암자 이름을 간월암(看月庵)이라 하고 섬 이름을 간월도(看月島)라 하였다고 한다.

이곳에서 수행하던 무학대사가 태조 이성계(李成桂)에게 보낸 간월도 어리굴젓이 궁중의 진상품이 되었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간월도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남부 해안에 있던 섬.
1984년 대규모 간척 사업으로 인해 육지와 연결되었다. 북쪽에 있는 49m 높이의 구릉평지를 중심으로 농경지가 분포한다. 해안은 남서쪽으로
길게 돌출된 부분이 있을 뿐 드나듦이 매우 단조로우며, 간석지가 많다. 섬의 북쪽과 동쪽의 습지는 농경지로 변했다. 기후는 대체로 한서의 차가
크며, 비가 많다.
농작물로는 쌀·보리·콩 등이 약간 생산되며, 특용작물로 마늘·고추·참깨 등을 재배한다. 주민의 대부분이
어업에 종사하나 일부는 농업과 어업을 겸하기도 한다. 연안 일대에서는 노래미·도미·새우·숭어 등이 어획되며 김·굴·바지락 등의 양식이 활발하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굴은 어리굴젓용으로 알맞고,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취락은 남쪽과 북쪽의 구릉지 사이에 큰마을·담배골이 있으며, 남서쪽 돌출부에는 선착장 시설 등이 있다.
북서쪽 육지부 남단에서 649번 지방도로가 갈라져 방조제를 통하여 섬의 북동쪽 해안을 따라 연결되며, 동쪽 육지부 궁갓 마을까지 이어져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면적 0.73㎢, 해안선 길이 11㎞.[Daum백과]

 

 

 

 

 

 

말로만 듣고 인터넷에서 사진으로만 보던 간월도

친구 부부와 함께 찾아보았다.

하지만 만조, 물 때를 잘 모르기도 했지만

관광지 치고는 영 말이 아니다.

여기 저기 지저분하기는 말이 아니고

펄쩍 뛰면 닿을 것 같이 가까운 거리지만

먼 발치에서 구경하듯 바라보다가

모두들 사진만 찍어댄다.

사진과 달리 별것두 아닌걸 가지구서리......-_-

 

 

그래도 그냥 즐거워유~~ ^0^

 

 

 

 

역광으로 선명치는 않치만 바다 건너 간월암 입구를 댕겨봅니다. 뭐가 보이나...... ^^

 

 

                 아주 평화롭고 햇빛좋은 간월도 해안...... ^^

 

 

 

 

 

 

 

 

 

 

간월도를 떠나 안면도로 가는 방조제에서...... ^0^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면도 마지막 날  (0) 2017.03.29
안면도 자연휴양림  (0) 2017.03.26
해미읍성(海美邑城)  (0) 2017.03.15
제주 돌문화공원  (0) 2016.12.15
제주도 여행  (0) 2016.12.12

해미읍성(海美邑城)

해미읍성 충남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사적 제116호.

해미는 1414년(태종 14)에 충청도 덕산으로부터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이 옮겨온 곳으로,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이 청주로 이전한 1651년(효종 2)까지 군사적 거점이 되었던 곳이다. 해미읍성은 1491년(성종 22)에 축조되어 서해안 방어를 맡았던 곳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성의 둘레가 3,172척, 높이가 15척, 성 안에는 3개의 유물과 군창이 설치되어 있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에 의하면 성의 둘레가 6,630척으로 보로 계산하면 2,219보가 되고 높이는 13척, 치성은 382첩으로 되어 있으며, 사방에 문이 있다고 했다. 이 기록을 통하여 볼 때 해미읍성의 규모가 훨씬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60년에 이 성을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읍성의 표본으로 삼아 사적으로 지정하고 보수공사를 하는 한편, 성 안팎에 무질서하게 자리잡은 민가를 철거·이전시키고 종합적인 보존계획을 세웠다. 1974년에 동문·서문이 복원되었으며 1981년에는 성 안의 일부를 발굴한 결과 관아 터가 확인되었다.

 

 

 

 

 

 

 

 

 

 

 

 

 

 

 

어느 노인의 연을 띄워주는 친구......^^

 

 

 

 

 

옥사앞 회화나무(호야나무)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면도 자연휴양림  (0) 2017.03.26
서산 간월도  (0) 2017.03.23
제주 돌문화공원  (0) 2016.12.15
제주도 여행  (0) 2016.12.12
가리산 계곡  (0) 2016.08.25

2016년 5월 1일

제주 돌문화공원을 돌아보며

담아본 사진을

늦게서야 정리를 해보며

그 때를 회상해 본다 .

 

 

 

제주돌문화공원 입구에 있는 어머니의 방

 

 

 

 

 

 

 

 

 

 

 

 

 

 

 

 

 

 

 

 

 

 

 

 

 

 

 

 갈퀴나물

 

 

 

 

 

 

 

 

 

 

 

 

 

으럼꽃

 

 

 

 

 

 

 

 

 

 

 

 

 

 

 

 

 

 

 

 

 

 

 

 

 

 

 

 

 

 

 

 

 

 

 

 

 

 

 

 

 

 

 

 

 

어머니의 방에서 바깥세상을......^^

 

 

 

 큰천남성

 

 

천남성

 

 애기나리

 

 

청미래나무(망개덩굴)

 

 

♡ Michel Pépé - La Clarté de l'Esprit (album Natura Mystica 2014)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산 간월도  (0) 2017.03.23
해미읍성(海美邑城)  (0) 2017.03.15
제주도 여행  (0) 2016.12.12
가리산 계곡  (0) 2016.08.25
용인 민속촌  (0) 2016.05.31

 

 

제주도 주상절리와 파도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미읍성(海美邑城)  (0) 2017.03.15
제주 돌문화공원  (0) 2016.12.15
가리산 계곡  (0) 2016.08.25
용인 민속촌  (0) 2016.05.31
2016 제주_가족여행  (0) 2016.05.05

2016년 8월 18일

강원도 홍천군 소재 가리산에서 피서를 즐기며......

 

 

 

아름다운 가리산의 실루엣

 

 

해병대 가리산 전투전적비

 

 

 

 

 

 

산갈퀴

 

산갈퀴

 

덩굴팥

 

 

 

돌콩

 

돌콩

 

 

마타리

 

 

 

 

 

 

 

 

 

 

 

 

 

 

 

 물봉선

 

 

영아자

 

 

 

 

 

 

 

물봉선

 

 

 

 

 

 

 

 

 

 

속단

 

 

궁궁

 

 

 

 

 

 

 

 

 

물봉선

 

 

 

오리방풀

 

 

큰끈끈이여뀌

 

 

등갈퀴

 

 

 

 

 

 

오리방풀

 

 

노랑물봉선

 

 

노랑물봉선

 

 

 

 

 

참싸리

 

 

 

배초향

 

 

 

 

 

 

 

 

 

 

 

 

아쉽게 계곡을 떠나는...... 

 

 

 

 

박쥐나무

 

 

 

 

싱아도 같구? 맛을 좀 볼껄......^^

 

솟대

  

 

등골나물

 

 

 

수까치깨

 

 

 

 

 

 

 

 

마타리

 

 

참취

 

 

 

 

 

 

 

궁궁이

 

 

 

오리방풀

 

 

 

 

개당귀

 

가래나무

 

 

 

 

 

 

 

 

 

 

 

참개금나무

 

 

 

 

모싯대

 

 

 

 

 

 

 

 

 

 

 

 

 

거북꼬리

 

 

 

 

 

 

모싯대

 

 

 

 

 

산돌배나무

 

 

 

가리산 휴양림에서 조망한 가리산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돌문화공원  (0) 2016.12.15
제주도 여행  (0) 2016.12.12
용인 민속촌  (0) 2016.05.31
2016 제주_가족여행  (0) 2016.05.05
단양 팔경  (0) 2016.04.19

 

강남시니어들과 함께한 용인 민속촌

 

 

민속촌 입구의 장승들......

 

 

 

 

 

 

 

 

                                                                                                                                                             뚜기는 못말려유~

 

농악공연마당

 

 

 

 상쇄의 농악연주......

 

 

 

 

 

 

 

승마공연

 

 

 

 

 

 

 

 

 

 

 

 

 

 

 

 

 

 

 

 

 

 

북청사자놀이

 

 

 

 

 

 

 

 

점심을 먹기 위해 장터로 가다가

안사회복지사님과 함께한 뚜기님 ^^

 

 푸짐하고 맛있는 점심식사

 

 

어릴 때 추억이 새로운 꿀풀

 

벌써 백일홍이......

 

 

 

 

어처구니가 있군요 ^^

어릴 때 추억과

지난 5월8일 세상을 뜨신

어머니가 새삼 생각나게하는 맷돌......

 

 

 

 

 

 

유채꽃도 이뻐라......

 

 

 솜털이 보송보송한 섬초롱꽃

 

 

 

 

끈끈이대나물이 넘 아름답다.

 

 

 

돌솟대

 

 

 

돌장승과 외국어린이......

 

 

 

 

 

인생은, 이렇게...... ^^

 

 

 

 

 

 

 

 

 

 

 

 

 

 

 

 

 

 

 

 

 

 

 

 

 

 

 

 

 

 

 

 

 

 

 

 

 

 

 

 

 

 

 

 

 

 

 

 

 

 

 

 

 

 

 

 

 

 

 

 

 

 

 

 

 

 

 

 

 

 

 

 

 

 

 

 

 

 

 

 

 

 

 

 

 

 

 

 

 

 

 

 

 

 

 

 

 

 

 

 

 

 

 

 

 

 

 

 

 

 

 

 

 

 

 

 

 

 

 

 

 

 

 

 

 

 

 

 

 

 

 

제사

 

 

 12지신 중 나가......^^

 

 

 

 

 

 

 

 

 

 

 

 

 

 

 

 

 

 

 

 

 

 

 

 

 

 

 

고향의 추억 똥장군 이라오 ^^

 

 

 

백선

 

엉겅퀴

 

 

 

 

 

 

보리

 

 

 

 

 

 

 

 

 

 

 

 

 

 

 

명주실과 누에고치

 

 

어렸을 때 어머니께서는 저기서 나오는 번데기를 주셨는데...... ㅜㅜ

 

 

돌곶

 

물레

 

베틀

 

 

조선시대 침대

 

성균관의 일원이 되어......ㅎㅎ

 

 

 

 

 

 

 

민속촌을 나서며......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여행  (0) 2016.12.12
가리산 계곡  (0) 2016.08.25
2016 제주_가족여행  (0) 2016.05.05
단양 팔경  (0) 2016.04.19
인천 둘레길 (11 코스)  (0) 2014.11.17

2016년 5월1일 ~ 4일까지

제주 가족여행

 

첫날 에코랜드에서......

 

 

 

 

 

 

 

 

 

 

 

 

 

 

 

큰천남성

 

 

 

 

 

 

 

 

 

 

 

 

 

 

 

 

오른쪽 멀리서 홀로 산책하다 손을 든 분은? ^0^

 

 

 

 

 

 

 

 

 

 

 

 

 

 

 

 

 

 

 

 

 

 

 

 

석죽과 종류 / 점나도나물


점나도나물과 벼룩나물은 별꽃이란 이름으론 불리지 않지만 별꽃과 같은 석죽과다.


'나도 좀 나물이라고 불러달라'고 해서 '점(좀)나도나물'이라고 하고

벼룩나물은 '꽃이 벼룩만큼 조그만 해서 벼룩나물'이라고 부른답니다.

 

 

 

 

 

 

 

 

 

 

 

 

 

 

 

 

 

 

 

 

 

 

 

 

 

 

 

 

 

 

 

 

 

 

 

 

 

 

 

 

 

 

 

 

 

 

 

홍괴불나무

 

삼색조팝

 

 

 

 

 

 

 

 

 

윤노리나무

 

 

 

 

 

 

 

빈카마이너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리산 계곡  (0) 2016.08.25
용인 민속촌  (0) 2016.05.31
단양 팔경  (0) 2016.04.19
인천 둘레길 (11 코스)  (0) 2014.11.17
행글라이더로 돌아보는 미국 여행  (0) 2014.08.24

2016년 4월 16~17일

건우회 회원들과 단양 대명콘도에서 1박하며 우정을 돈독히 하다.

 

 

 

사인암(舍人岩)

 

시인묵객이 시화로 예찬한
충북 단양군 문화재 명승 제47호   

 

 

 

 
역(易)이 동(東)으로 왔다. ‘역’이란 동양의 우주론적 철학이다. 역은 변역(變易), 즉 ‘바뀐다’는 뜻으로 천지만물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의 원리를 설명하고 풀이한 것이다. 변역의 원리를 통달하면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는 혜안을 갖게 되어 길흉을 미리 알 수 있다고 한다. 우리에게는 주나라 때 정립된 주역(周易)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역이 탄생한 본고장 중국에서 해동국인 고려로 그 중심이 넘어왔다는 것이다. 그 주인공이 바로 고려의 우탁으로 역에 능통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를 역동(易東) 선생이라 불렀다.

 

운계천가에 수직으로 우뚝 솟은 사인암은 석벽에 가로세로 바둑판 무늬가 선명하고 그 위에는 푸른 창송이 하늘을 향해 뻗어 있다. 

단양팔경 중의 하나인 사인암은 역동 우탁에 의해 명명된 경승이다. 고려 말 정주학의 대가였던 우탁은 단양군 현곡면 적성리에서 태어났다. 충렬왕 4년에 항공진사가 되어 관직에 나간 후 여러 직에 보임되었다. 충선왕이 부왕의 후궁인 숙창원비와 통간하자 당시 감찰규정이었던 역동은 흰 옷을 입고 도끼를 든 채 궁궐에 들어가 자신의 말이 잘못되었을 때는 목을 쳐도 좋다는 이른바 지부상소(持斧上疏)를 올렸다. 자신의 목숨을 초개와 같이 생각하고 군주의 비행을 직간한 역동의 기개와 충의를 본 충선왕은 부끄러운 빛을 감추지 못했다고 한다. 이렇듯 우탁은 강직한 성품을 지닌 선비였다.

《고려사(高麗史)》 열전에는 우탁이 영해사록(寧海司錄)으로 부임했을 때 민간신앙이었던 팔령신(八鈴神) 때문에 백성의 폐해가 심하자 신사를 철폐하는 혁신적인 자세를 보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그는 벼슬을 버린 후에는 후학양성에만 전념했다고 한다. 우탁이 ‘사인(舍人)’이라는 관직에 있을 때 사인암 근처에 초막을 짓고 기거했다. 그래서 조선 성종 때 단양군수로 부임한 임재광이 우탁을 기리기 위해 이 바위를 사인암이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인터넷 백과사전에서>

 

 

 

 

 

 

 

 

 

 

 

 

 

 

 

 

 

 

 

 

 

 

 

 

 

 

 

 

 

 

 

 

 

 

 

 

 

 

 

 

 

 

 

 

 

 

 

 

 

 

 

 

 

 

 

 

 

 

 

 

 

 

 

 

 

 

 

 

 

 

 

 

 

 

 

사인암은 마치 해금강을 연상케 하는 아름다운 석벽이다.

깎아지른 듯 하늘을 향해 뻗은 수직의 바위가 거대한 단애를 이루고 암벽의 정수리에는 늘 푸른 창송이 꼿꼿이 자라고 있다.

사인암은 기품이 넘치는 장엄하고 우뚝한 자태를 자랑한다. 바둑판 모양이 선연한 암벽의 격자무늬와 푸른 노송의 어우러짐은 기묘한 조화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운계천의 맑은 물이 푸르고 영롱한 옥색 여울이 되어 기암절벽을 안고 도는 수려한 풍광으로 이름난 운선구곡의 하나다.

소백산의 정기가 모인 물줄기가 서쪽으로 흐르다 급히 돌아 북으로 굽이치고 다시 돌아 동남으로 흘러가는 운계천은 물이 옥같이 맑고 산수의 풍광이 아름답다. 이러한 운계천의 절정을 이루는 사인암은 마치 속세를 떠난 듯하며 암벽에는 역동 우탁의 글이 새겨져 있다.

뛰어난 것은 무리에 비할 바가 아니나
卓爾弗群
확실하게 빼어나지도 못했도다
確乎不拔
홀로 서도 두려울 것 없고
獨立不懼
세상에 은둔하여 근심도 없노라
遯世無憫

 

 

 

 

 

 

 

 

 

 

 

 

 

 

 

 

 

 

 

 

 

 

 

 

 

 

사인암의 신비로운 선경은 예로부터 많은 시인묵객을 불러들였다.

추사 김정희는 “속된 정과 평범한 느낌이라고는 터럭만큼도 없다(俗情凡韻一毫無)”며 하늘이 내린 그림이라고 경탄했다.

추사 외에도 사인암의 선경을 묘사한 시문은 매우 많다.

신광수의 〈단산별곡(丹山別曲)〉, 한진호의 《도담행정기(島潭行程記)》, 오대익의 〈운선구곡가(雲仙九曲歌)〉 등이 사인암의 비경을 담고 있으며,

김홍도와 이방운 등 조선의 이름난 화가들도 아름다운 절경을 화폭에 진경산수의 필법으로 묘사하고 있다.

단양에는 다섯 바위가 있다.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 운암, 그리고 사인암이다.

정조임금은 김홍도를 연풍현감에 제수하여 영풍, 단양, 제천, 청풍의 산수를 그려 오라 했다.

김홍도가 사인암에 이르러 그리려 했지만 10여 일을 머물면서 노심초사했다.
- 한진호, 《도담행정기》 중에서
산수화, 인물화, 불화, 풍속화에 모두 능했던 단원 김홍도조차 선경에 압도될 만큼 사인암의 풍광은 신비로움 그 자체였다.

김홍도가 그린 〈사인암도(舍人岩圖)〉는 《병진년화첩(丙辰年畵帖)》으로 알려진 《단원절세보(檀圓折世寶)》에 들어 있다.

‘절세보’는 세상에서 가장 뛰어난 보물이라는 뜻으로 김홍도가 이 화첩의 그림을 얼마나 높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사인암도〉를 비롯해 도담삼봉, 옥순봉 등 단양의 절경을 그린 단원의 그림을 실경산수라 한다.

중국의 관념산수와 비교하면 당시 조선 화단에서 이룩한 실경산수화법은 자연풍경의 묘사가 실제의 모습과 매우 비슷했음을 보여준다.

이렇듯 수많은 산수화의 대상이 된 사인암은 장대한 기암절벽, 늘 푸른 소나무, 벽옥 같은 맑은 물이 어우러져 사계절 내내 신록과 단풍, 설경으로 변화무쌍한 경관을 보여주는 경승이다. 사인암은 지리적 표지로 강하게 인지되는 대상이어서 《대동지지(大東地志)》와 《해동지도》를 비롯해 조선시대 각종 지리지와 고지도에도 표기되어 있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의하면 “사인암은 군의 남쪽 15리에 있다. 운계의 북쪽 들판 상류와 선암 사이를 산 하나와 흐르는 물이 가로막아 동서로 깊고 큰 골짜기를 이룬다. 계곡을 굽어보며 겹겹이 쌓인 절벽의 높이가 48~49길이고 둘레는 15~16아름이다”라고 되어 있다. 또한 사인암에 있는 사선대(四仙臺)와 서벽정(棲碧亭)의 기록도 남아 있다.

지질사적 관점으로 보면 사인암은 석회암 지대에 관입한 화강암이 하천의 반석 위에 세워진 병풍 모양의 수직절리면이다. 다양한 색깔로 드러난 수직 수평의 절리면이 마치 수많은 책을 쌓아놓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처럼 신비로운 비경을 지닌 사인암은 옛사람들은 물론 오늘날 이곳을 찾는 탐방객까지도 매료시키고 있다.

 

 

 

 

 

 

 

 

 

 

 

 

 

 

 

 

 

 

 

 

 

 

 

 

 

 

 

 

 

 

 

 

 

 

사인암 전경


기암절벽을 바라보고 있으면 옛날 선비들이 이곳에서 시를 읊고 그림을 그리던 모습을 떠올리게 된다.

현재 사인암에는 우탁의 글이 남아 있고 개울가 바위에는 수많은 시인묵객의 이름, 언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는 순장바둑(우리 고유의 재래식 바둑)판도 새겨져 있다. 또한 “청산의 눈 녹인 바람을 빌어다가 귀 밑의 해묵은 서리를 녹여볼까 하노라”라는 우탁의 〈탄로가(嘆老歌)〉 2수를 적은 시비와 기적비가 세워져 있다.

남한강 줄기에 위치하고 있는 조선시대 지방 행정 단위였던 청풍, 단양, 제천, 영춘의 경치는 산수풍경으로는 첫손에 꼽힐 만큼 아름답다고 많은 시인묵객들이 평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단양팔경의 사인암은 시화의 주제로 가장 많은 대상이 된 곳이자 옛 선인들이 아끼고 사랑한 명승이라 할 수 있다.<인터넷백과에서>

 

 

 

중선암

 

 

 

 

 

 

아름다운 중선암

 

 

상선암

 

 

 

 

 

 

 

 

 

 

상선암의 망중한......

 

 

 

                                                             월악산국립공원 홍보관 입구

 

 

 

 

장회나루에서 제비봉을......

 

 

 

 

 

 

 

장회나루에서 조망한 구담봉과 충주호

 

 

 

 

 두향의 북과 가야금 조형물을 보며......

 

 

회장님의 모임 카톡 후기

 

칭구님 !
다들 잘 도착하셨는지요 ?

참 ~
오랜만의 나들이 ~

녹색이
녹아드는~
싱그러움에
나도 모르게
아름다움 ~
빠졌었네요 !

더없이
정말 좋았네요 !

아 !
이런날들이
더있었으면 ?

또한
칭구들의
담소와 웃음으로
익혀낸 정을
가슴에 담아내고~
더우기
즐거움이 꽉차
오르는 ...
소중한 시간 ~

그냥
그리 좋을수가
없었네요

칭구님들~
온 마음으로 
감사 드립니다

글쿠요
석정이
리조트 숙박비용
전부를 부담하셔서
고마움에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여산 드림


 

 

 

 

스마트폰듣기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인 민속촌  (0) 2016.05.31
2016 제주_가족여행  (0) 2016.05.05
인천 둘레길 (11 코스)  (0) 2014.11.17
행글라이더로 돌아보는 미국 여행  (0) 2014.08.24
백두산과 장백폭포  (0) 2014.08.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