脣亡齒寒<순망치한>

 

 

나 아니면 안되고, 나 혼자 똑똑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정말 똑똑한 사람일까?

 

‘국내 최고경영자(CEO)들은 오늘날 자신을 만들어준 가장 중요한 습관으로 순망치한(脣亡齒寒)을 1위로 꼽았다.’라고 하는 기사를 몇 년 전에 보았다.

 

순망치한은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이다. 가까운 사이에서 하나가 망하면 다른 한편도 온전하기 어렵다는 것으로 인간관계(人間關係, human relations)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다. 특히 이 말이 비즈니스 세계에서도 절실하다는 얘기를 CEO들이 증명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가도멸괵 순망치한(假道滅虢 脣亡齒寒)은《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희공 5년조에 나오는 말이다. 춘추시대 말엽(B.C. 655), 오패(五覇)의 하나인 진(晉)나라 헌공은 괵(虢)나라를 공격할 야심을 품고, 괵(虢)나라를 공격하려면 진(晉)나라와 괵(虢)나라 중간에 위치하여 통과해야만 하는 우(虞)나라 우공(虞公)에게 길을 지나게 해주면<假道滅虢> 많은 재물을 주겠노라고 제의하고 우나라를 지나도록 허락해줄 것을 요청했다. 우공(虞公)이 이를 수락하려했으나 우나라의 현인 궁지기(宮之寄)는 헌공의 속셈을 알고 우공에게 간언했다.

"전하, 괵(虢)나라와 우(虞)나라는 한몸이나 다름없습니다. 괵(虢)나라가 망하면 함께 망하고 말 것입니다. 옛 속담에도 수레의 짐받이 판자(덧방나무)와 수레는 서로 의지하고(輔車相依),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리다(脣亡齒寒)고 했습니다.

이는 바로 괵나라와 우나라의 관계를 말한 것입니다. 결코 길을 빌려주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러나 뇌물에 눈이 어두워진 우공은 “진과 우리는 동종(同宗)의 나라인데 어찌 우리를 해칠 리가 있겠소?”라며 듣지 않았다. 궁지기는 후환이 두려워 “우리나라는 올해를 넘기지 못할 것이다.”라는 말을 남기고 가족과 함께 우나라를 떠났다. 진나라는 궁지기의 예견대로 12월에 괵나라를 정벌하고 돌아오는 길에 우나라도 정복하고 우공(虞公)을 포로로 잡았다.

이와 같이 입술(脣)과 이(齒)의 관계처럼 결코 끊어서는 안 되는 관계를 脣亡齒寒<순망치한>이라 한다. 동의어로 순치지국(脣齒之國)·순치보거(脣齒輔車)가 있으며, 유사어로 조지양익(鳥之兩翼)·거지양륜(車之兩輪)이 있다.

 

그런데 사자성어로 꼽힌 습관은 이 밖에도 △형설지공(螢雪之功)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와신상담(臥薪嘗膽) △삼고초려(三顧草廬) △격물치지(格物致知) △읍참마속(泣斬馬謖) △절차탁마(切磋琢磨) △무한추구(無限追求) △선즉제인(先則制人) 등이라고 한다.

 

출처:네이트 지식 등 인터넷 사이트

 

 

민경조씨의 <논어경영학>

 

나 혼자 똑똑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정말 똑똑한 사람일까?

회사에서 회의를 열 때, 진행자 스스로 자신이 다른 사람에 비해 아는 것이 많다고 여기며

회의를 일방적으로 진행하거나, 아랫사람의 의견을 다 듣지 않고서 자기주장이나 의견만 강요한다면 어떻게 될까?

그 회의는 회의장이 아니라 졸음이 엄습하는 연설장으로 바뀔 것이 뻔하다.

그러한 회의에서는 의견교환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것은 물론 참석자들이 절대 의견다운 의견을 내 놓지 않는다.

'가만히 있으면 중간은 간다.' 는 생각이 모두에게 팽배한 것이다.

회의 진행자나 윗사람은 자신이 풍부한 정보를 가졌어도 많이 알고 있지 못하며 정보가 없는 듯이 행동하면서 묵묵히 아랫사람의 의견을 경청할 줄 알아야 한다.

그래야만 언로가 열린 채 활발한 의견교환이 가능해져, 마치 새벽 어시장의 활기를 보듯 좋은

발상이 튀어나오고 활기띠는 조직을 만들 수 있다.

 

중학교 시절 수학 시간에서 배운 원리 하나를 소개한다.

'삼각형에서 두 변 길이의 합은 빗변의 길이 보다 길다'

즉, '빗변이 아무리 길어도 남은 두변의 길이를 합친 것 보다는 짧다' 는 것이다.

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만 갖고 경쟁에 나설것인가?

아니면 세변의 길이를 합쳐 대항할 것인가?

내 지혜에 조직 내 다른 사람의 지혜를 합치면 훨씬 더 큰 성과를 끌어 낼 수 있다.

 

아직도 나 혼자 모든 일을 할 것인가?

아니면 구성원 모두의 힘을 집결해서 어려운 상황을 헤쳐 나갈 것인가 고민하는 이들을 위해서 한 가지 고사를 소개 한다.

 

바로 널리 알려진 가도멸괵 (假道滅虢) 순망치한 (脣亡齒寒)의 고사다.

 

춘추시대 말 진나라 임금 헌공은 이웃의 소국인 우(虞)나라와 괵(虢)나라를 욕심내고 있었다.

헌공은 먼저 바로 옆에 위치한 우 나라에게 괵나라를 칠터니 길을 빌려 달라고 요청했다.

소위 가도멸괵의 소사를 낳은 사건이었다.

우 나라는 충신 궁지기(宮之奇) 의 충언에도 불구하고 길을 빌려주었고,

진나라는 그 길로 달려가 괵 나라를 공격해서 멸망시킨 다음, 돌아오는 길에 우 나라마저 삼켜버렸다.

 

다음은 "한시외전(漢詩外傳)" 에나오는 이야기로

 

괵 나라의 임금이 나라가 망하자 도망가면서 마부와 대화한 내용이라 한다.

옛날 괵 나라 임금이 나라가 망하여 도망을 가던 중이었다.

임금이 마부에게 목이 마르다고 하자 마부는 곧 맛있는 술을 바쳤다.

또 배가 고프다고 하자 고기반찬을 곁들인 식사를 대령하였다.

"어떻게 해서 대령하였느냐? "

"미리 준비해 두었습니다."

"왜 미리 준비해두었더냐?"

"임금님께서 도망가실 때 굶주리고 목이 마르실까 봐 준비했습니다."

"그럼 너는 내가 망하게 되리라는 걸 알았던 모양인데,

왜 진작 간(諫)하지 않았느냐?"

"임금께서는 아첨하는 말을 좋아하시고 올바른 말은 싫어하셨습니다.

저도 간언들일까 생각해 봤으나 나라가 망하기 전에 제가 먼저 죽을 것 같아 그만 두었습니다. "

"그래? 그럼 내가 망하게 된 것은 무엇 때문이라고 생각하느냐?"

"임금께서 망하신 것은 지나치게 현명하셨기 때문입니다."

"현명한 사람이 번성하지 않고 망한 것은 무엇 때문이라고 생각하느냐?"

"임금님 주위에 임금님보다 현명한 사람이 없고 임금은 마부의 말을 듣고 기뻐서

수레에 몸을 기댄 채 웃으며 말했다.

"허허, 똑똑한 내가 이런 어려움을 겪게 되다니...."

말을 마치자 그는 온몸에 힘이 빠지고

극도로 피곤함을 느껴 마부의 무릎을 베고 잠이 들었다.

마부는 살며시 자기 무릎을 빼고 대신 돌을 베게로 받쳐주고는 떠나버렸다.

그 후 임금은 들판을 헤매다가 호랑이에게 잡아먹히고 말았다.

 

아첨하는 말만 듣고 충언을 들으려 하지 않으면 어느 누구도 바른 말을 하려 하지 않는다.

바른 말을 하는 신하는 곧 도태된다는 엄연한 사실을 모를 리 없기 때문이다.

임금님 혼자 현명하셨기 때문입니다."

또한 똑똑한 지도자가 망한 이유는 혼자서 똑똑했기 때문인데, 사실 임금님이 가장 똑똑한게 아니고 그렇게 착각한 것이라 생각된다.

삼각형의 빗변이 스스로 길다고 아무리 뽐내도 단지 세변가운데 다른 두변보다 조금 길 뿐이다.

남은 두 변을 빼놓고 빗변만 있어서는 삼각형을 절대 완성할 수 없다.

 

민경조 코오롱그룹 부회장 <논어경영학>에서

 




P 워나님의 파란블로그에서 발행된 글입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의렴퇴 전패비휴   (0) 2013.05.30
군자삼락(君子三樂)  (0) 2010.12.06
절영지회(絶纓之會)  (0) 2010.08.03
추야우중  (0) 2010.08.01
교우투분  (0) 2010.07.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