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영지회(絶纓之會)

 

갓끈을 끊는 연회라는 뜻으로 옛 고사에서 비롯됨. 이유가 이 고사를 예로 들어 동탁에게 간언하길 초선을 여포에게 내리면 여포의 충심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고사를 보면 너그러운 배려가 나라를 누란의 위기에서 구한 이야기들을 많이 본다. 그 중 「설원」復恩篇에 소개된 춘추시대 춘추오패 가운데 하나인 초나라 장왕이 반란을 평정하고 돌아와 여러 신하들에게 연회를 베풀었다. 연회는 밤까지 계속 돼 장왕은 불을 밝히고 사랑하는 허희를 시켜 여러 신하들에게 술을 돌리게 했다. 그 때 공교롭게도 한줄기 광풍이 불어와 연회석을 밝히던 촛불이 꺼져버렸다.

 

그 사이, 한 사람이 허희의 소매를 끌어 당겨 희롱했다. 그러자 허희는 그 사람의 갓끈을 잡아당겨 끊어버렸다.

 

허희는 장왕에게 “마마, 어떤 사람이 무엄하게도 어두워진 것을 틈타 첩을 희롱했습니다. 첩이 그 자의 갓끈을 잡아 당겨 끊어 놓았으니 빨리 불을 밝혀 그 무례한 자를 찾아 엄벌해 주소서”하고 고했다.

 

그러나 장왕은 좌우의 신하들에게 “경들은 모두 갓끈을 끊고 실컷 마시도록 하라. 갓끈이 끊어지지 않은 자는 마음껏 즐기지 않는 자이다”하고 명해 백관들이 모두 갓끈을 끊은 후에야 불을 밝히게 했다. 그렇게 하여 끝까지 즐거운 분위기로 잔치를 마치게 했다고 한다.

 

그로부터 3년 뒤 장왕이 진(晉)나라와 싸울 때였다. 장왕이 위급할 때마다 한 장군이 목숨을 내던지고 달려와 장왕을 구하곤 했다. 장왕은 의아하여 그 장군을 불러 “과인이 덕이 없어 그동안 그대를 몰라보았는데 그대가 죽음을 무릅쓰고 나서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그 장수는 “저는 3년 전에 마땅히 죽을 목숨이었습니다. 연회가 있던 날 밤 술에 취해 그만 무례를 저질렀지만 왕께서는 이를 감추시고 제게 벌을 내리시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늘 저의 간과 뇌를 땅에 들어내고, 목의 피를 땅에 뿌려서라도 그 은혜를 갚을 것을 소원해 왔습니다. 신이 바로 갓끈이 끊어졌던 바로 그 놈입니다”

 

후세 사람들은 이 연회를 갓끈이 끊어진 모임이라는 의미로 절영지회(絶纓之會)라고 했다.

 

무릇 다스리는 자(治者)의 그릇(度量)이 초장왕 정도는 되어야 할 것이다.

  출처→논어 경영학과 인터넷에서

 

  내가 軍 복무시절 雙方訓練으로 방어훈련을 하던 중 새벽의 일이다. 우리 소대 병사 한명이 보고하기를 좌측 능선 멀리에서 敵(假想敵)이 출현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시나리오에 없는 지역에서의 상황이라 별로 신경 쓸 일이 아니라 판단하고 경계만 강화시키고 말았다. 그런데 무려 1개 중대 병력이 우리 소대를 포위하여 압박을 하고 있지 않는가! 정말 돌파구를 찾을 수 없었다. 實戰과 같은 訓練이기는 하지만 정말 예상할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말았다. 실제 肉薄戰이 벌어져 衆寡不敵으로 束手無策이었다. 따라서 부상자가 속출하고 있어 기가 막혔다. 할 수없이 나는 최후(?)방어 수단으로 小銃에 着劍을 시켜 나를 중심으로 원을 그려 버티고 있을 수밖에 없었다.

 

아마도 심판관이 있었다면 규정이 있기에 그리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갑자기 가상적군이 물러나고 있었고 우리소대에서 제일 체구가 작고 약하게 생각했던 유일병이 적의 중대장을 대검으로 위협하여 포로로 잡고 있지 않은가! 정말 기막힌 일 이었지만 유일병 덕분에 우리 소대는 더 이상의 부상병 없이 위험을 벗어 날 수 있었다.

 

  나는 내 부하 유일병이 평소 병치레를 할 때마다 군위관을 통하여 치료를 하였으나 하루는 영외 약국에서 더 좋은(?)약을 구입하여 복용시켜 건강을 회복시키기도 하는 등 부하를 돌 본 일이 있었다.

  아마도 그런 것들로 인하여 소대장과 소대원들이 어려움에 처한것을 보고 평소 소대장에 대한 고마움이 이 같은 용기를 갖도록 하여 우리 소대를 구할 수 있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오늘 나는 ‘논어 경영학’에서 절영지회(絶纓之會)를 읽고 관리자는 꼭 원칙과 규정만을 가지고 조직을 관리하거나 통솔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님을 새삼 생각하면서 38년전 옛날 일을 생각해 보았다.

 

 

 




P 워나님의 파란블로그에서 발행된 글입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의렴퇴 전패비휴   (0) 2013.05.30
군자삼락(君子三樂)  (0) 2010.12.06
추야우중  (0) 2010.08.01
교우투분  (0) 2010.07.26
순망치한  (0) 2010.07.18

+ Recent posts